728x90
FTP Active 모드와 Passive 모드
FTP Active 모드와 Passive 모드에 대해 조사하시오
- Active 모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측 21번 포트로 접속시도하고 데이터 포트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
2. Passive 모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쪽 21번 포트로 접속시도하고 데이터 포트도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임의의
포트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받아오는 방식
3. sFTP에 대해조사하시오.
일반적인 FTP와 달리 PC와 서버간 데이터 전송을 암호화 하기 때문에 해킹이나 보안상의 문제점을
방지하고 안전한 호스팅을 이용할 수 있다. 포트는 22번 포트를 사용
FTP 세션구조
1. FTP 액티브 모드
- 클라이언트가 FTP 프로그램으로 서버에 접속 이때는 FTP 서버는 기본값인 21번 포트를 사용
- 클라이언트는 5151 포트로 데이터를 받는다는 응답을 서버로 보냄 이때는 FTP 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의 포트는 5150
- 서버는 5151번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응답함
- 클라이언트가 응답하고 데이터를 받음
2. FTP 패시브 모드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
- 서버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포트를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줌
- 클라이언트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포트에 데이터 요청
- 서버의 응답과 함께 클라이언트는 서버측의 포트로 데이터를 넘겨받음
하얀배터리 블로그에 작성된 모든 글은 무단 복제 , 수정 , 스크랩을 금지 합니다. !!
개시물은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쓰여진 것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내용은 지적 바랍니다.
#하얀배터리 #IT #정보보안 #윈도우 #window #프로그래밍 #programming #html #java #C #javascript #database #jQuery #서버 #보안 #리눅스
# 코딩 #4차산업 #5G #정보 #보안 #IOT #빅데이터 #드론 #사물인터넷 #정보보안전문가 #파이썬 # 스마트폰 # 안드로이드 # IOS
728x90
'Programing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부팅 2 (0) | 2018.09.13 |
---|---|
윈도우 부팅이란? (0) | 2018.09.13 |
DLP , DRM 이란? (0) | 2018.09.13 |
통신케이블 연결하기 (0) | 2018.09.10 |
스위치 조사하기 (0) | 2018.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