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리눅스] crontab / rpm / yum / tar
- crontab [정해진 시간에 반복 실행]
기능 :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관리한다.
형식 : crontab [ -u 사용자 ID ] [ 옵션 ] [ 파일이름 ]
옵션 : - e :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편집한다.
-l : crontab 파일의 목록을 출력한다.
-r : crontab 파일을 삭제한다.
사용 예 : crontab -l crontab -u user1 -e crontab -r
* crontab 파일형식
[정리]
crontab 파일 생성하고 편집하기 : crontab -e
crontab 파일 내용 확인하기 : crontab -l
crontab 파일 삭제하기 : crontab -r
- rpm [설치 옵션] 패키지명
RPM 패키기 업그레이드하여 설치하기 -Uvh
기능 : RPM 패키지를 업그레이드 한다.
옵션 : - h : 해시기호(#)를 출력한다.
-v : 설치 과정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한다.
- i : 패키지를 설치한다.
-U : 패키지를 업그레이드 하여 설치한다.
-U 옵션으로 패키지를 설치할 때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패키지는 업그레이드 하여 설치하고
새로운 패키지는 그대로 설치 -> 따라서 -i 옵션보다는 -U 옵션을 더 많이 사용한다.
- rpm -q [질의옵션]
패키기 정보 검색하기 -q
기능 : RPM 패키지를 정보를 검색한다.
옵션 : - a : 전체 패키지 목록을 출력한다.
- f 파일명 : 파일명을 포함한 패키지 명을 출력한다.
- p 패키지명 : 패키지명으로 지정한 패키지의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 i : 자세한 정보를 출력한다.
- R : 의존하는 패키지 목록을 출력한다.
- l : 패키지 내의 파일을 출력한다.
-s : 패키지 안에 들어있는 파일의 상태를 출력한다.
-d : 문서 파일만 출력한다.
-c : 설정 파일만 출력한다.
전체 패키기 목록 출력하기 -qa
- 특정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하기 : -qa | grep
- 특정 파일을 포함한 패키지 확인하기 : -qf
- 패키지 상세 정보 확인하기 : -qi
- 패키지 상세 정보 확인하기 : -qif [-f 옵션을 사용할 경우 해당 파일이 속한 패키지의 상세 정보가 출력]
- 패키지 상세 정보 확인하기 : -qip [-p 옵션을 사용할 때는 해당 패키지가 위치한 디렉터리를 지정 : 패키지 이름만 지정할 경우 오류 발생]
- 패키지가 설치한 파일목록 확인하기 : -ql
- 패키지의 의존성 확인하기 : -qR
- rpm -e 패키지명
패키기 삭제하기
기능 : RPM 패키지를 삭제한다.
- yum
기능 : rpm 기반의 패키지를 자동으로 설치한다.
형식 : yum [ 옵션 ] [명령] [패키지명]
옵션 : - h :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편집한다.
-y : 설치 과정의 모든 질문에 yes로 대답한다.
-v : 자세한 메시지를 출력한다.
명령 : install : 패키지를 설치한다.
update : 패키지를 업데이트한다.
check-update : 패키지를 확인한다.
remove : 패키지를 삭제한다.
list : 패키지 목록을 확인한다.
info : 패키지 정보를 확인한다. ex) yum info 패키지명
사용 예 : yum install xterm yum list all
- yum list 명령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옵션
yum list all - 이미 설치되어있거나 설치 가능한 모든 패키지 목록을 출력한다.
yum list available - yum 저장소에서 설치 가능한 모든 패키지 목록을 출력한다.
yum list updates - yum 저장소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패키지 목록을 출력한다.
yum list intalled - 이미 설치된 패키지 목록을 출력한다.
yum list instalied - 지정한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tar
기능 : 파일과 디렉터리를 묶어 하나의 아카이브 파일을 생성한다.
파일아카이브 : 파일을 묶어서 하나로 만든 것
형식 : tar 기능 [옵션] [아카이브 파일 | 파일 이름 ]
기능 c : 새 로운 tar 파일을 생성한다.
t : tar 파일의 내용을 출력한다.
x: tar 파일에서 원본파일을 추출한다.
r : 새로운 파일을 추가한다.
u : 수정된 파일을 업데이트한다.
옵션 : f : 아카이브 파일이나 테이프 장치를 지정한다. 파일이름을 "-" 로 지정하면 tar 파일 대신 표준 입력에서 읽어들인다.
v : 처리하고 있는 파일의 정보를 출력한다.
h : 심벌릭 링크의 원본 파일을 포함한다.
p : 파일 복구 시 원래의 접근 권한을 유지한다.
j : bzip2로 압축하거나 해제한다.
z : gzip로 압축하거나 해제한다.
사용 예 : tar cvf unix.tar Unix
tar xvf unix.tar
아카이브 생성하기 : cvf
아카이브 생성하기 : tvf
아카이브 생성하기 : xvf
아카이브 생성하기 : uvf
하얀배터리 블로그에 작성된 글의 무단 복제 , 수정을 금지 합니다.
개시물은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쓰여진 것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내용은 지적 바랍니다.
#하얀배터리 #IT #정보보안 #윈도우 #window #프로그래밍 #programming #html #java #C #javascript #database #jQuery #서버 #보안 #리눅스
728x90
'Programing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하얀배터리]- IP / 호스트 /윈도우와 비교 (0) | 2018.06.13 |
---|---|
[리눅스-하얀배터리]-OSI 7계층 / 주소 / MAC주소 (0) | 2018.06.13 |
[리눅스-하얀배터리] 리눅스 명령어 rpm / yum (0) | 2018.06.10 |
[리눅스-하얀배터리] 쉘변수와 환경변수 (0) | 2018.06.02 |
[리눅스-하얀배터리] 쉘의 역할 / su / echo / printf / tcpdump 명령어 정리 (0) | 2018.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