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df / du / fsck / e2fsck / shell 등 df 파일 시스템별 디스크 사용량 확인하기 df [옵션] [파일 시스템] -a : 모든 파일 시스템을 대상으로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한다. -k : 디스크 사용량을 KB 단위로 출력한다. -m: 디스크 사용량을 MB 단위로 출력한다. -h: 디스크 사용량을 알기쉬운 단위(GB,MB,KB 등)로 출력한다. -t : 파일 시스템 종류 : 지정한 파일 시스템 종류에 해당하는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한다. T : 파일 시스템의 종류도 출력한다. df /dev/sda1 ---> sda1에 관한 정보만 출력 옵션사용 동일 df /dev/sda1 ----------> /dev/sda2 sda1,sda2 을 보겠다. 사용 예 : df df -h df -..
[리눅스] 그룹 / 사용자 관리 명령어 정리 사용자계정정보 /etc/passwd 파일 모든 사용자는 그룹에 속한다. 사용자계정정보가저장된기본파일 한행에사용자한명에대한정보가기록되며, 쌍점(:)으로구분되는일곱개의항목으로구성 로그인ID: 사용자계정의이름, 32자를넘을수없으나8자로제한하는것이좋다 x : 초기유닉스시스템에서사용자암호를저장하던항목, 요즘은/etc/shadow 파일에별도로보관 UID: 사용자ID 번호로시스템이사용자를구별하기위해사용하는번호 - 0~999번과65534번은시스템사용자를위한UID로예약(0: root, 1: bin, 2: daemon, 3: adm등) - 일반사용자들은UID 1000번부터할당 - 로그인ID가다르더라도UID가같으면리눅스시스템은같은사용자로판단, 따라서UID가중복되지않았는지주의해야함..
리눅스[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목록 보기 ps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 * - e :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 * - f : 프로세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 출력 상세 정보 -u uid : 특정 사용자에 대한 모든 프로세스 정보 출력 -p pid : pid 로 지정한 특정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 a : 터미널에서 실행한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 u : 프로세스의 소유자의 이름, CPU의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등 상세정보를 출력 x : 시스템에서 실행중인 모든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 -- pid PID 목록 : 목록으로 지정한 특정 PID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 예 ps ps -ef ps aux 프로세스 종료 kill kill [-시그널]PID 사..
C&C 서버 / 좀비 PC / DDos / DDos 사례 C&C 서버에 대해 설명하시오 C & C = [Command & Control] 일반적으로 감염된 좀비 PC 가 해커가 원하는 공격을 수행하도록 원격지에서 명령을 내리거나 악성코드를 제어하는 서버 2. 좀비 PC 에 대해 설명하시오. 해커가 웹사이트나 스팸메일등을 통해 악성코드를 심어놓은 PC 악성 봇에서 유래 좀비의 특성을 가진 감염된 PC 3. DDOS 공격에 대해 설명하시오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 인터넷 상에서 다수의 시스템이 협업하여 하나의 표적시스템을 공격 - 서비스를 거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든다. 4. 우리나라 DDOS 공격 사례 대해 조사하시오 2009 . 7 .7 DDOS 대란 2009 .7.4 시작 ~ 7.7 ~ 7..
리눅스 서버 조사하기 윈도우 서버 2008 R2 5/14 일반 사용자용 윈도우와 윈도우 서버의 차이점을 조사하시오. 윈도우 서버는 윈도우 제품군보다 . 1. 메모리의 최대 지원 크기 2. 많은 프로세서(CPU)의 수 3. 네트워크 연결 수 등에서 고성능의 하이드 엔드 하드웨어를 지원 설정 부분도 차이가 있음 서버 제품군의 경우 보안 수준이 기본적으로 높게 설정되어있습니다. 또한 백그라운드 서비스(혹은 프로그램들)에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일반 윈도우 제품군은 포그라운드 서비스에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 윈도우 제품군에서는 DNS, DHCP, Active Directory와 같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서버 제품군 계열을 사용할 수가 없도록 되어있습니다. 윈도우 서버..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하기 [Setup 모드] 설정하기 ip 주소 확인하기 ifconfig ipcofig X -> window setup 명령어 Network configuration 메뉴 진입 Device configuration Enter 3.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 , 게이트웨이 , DNS 입력 4. DNS 입력 ---------> 5. 완료후 저장하고 [명령어] service network restart 인터넷 되나 확인하는 명령어 nslookup www.nate.com (ex)nate 도메인 사용) 하얀배터리 블로그에 작성된 글의 무단 복제 , 수정을 금지 합니다. 개시물은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쓰여진 것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내용은 지적 ..
[리눅스] 권한관련 명령어 권한의 변경 방법 chmod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하기 아래 세부 설명 접근 권한의 종류 권한 파일 디렉터리 읽기 r 파일을 읽거나 복사 할 수 있다. ls 명령으로 디렉터리 목록을 볼수 있다. ls 명령의 옵션은 실행 권한이 있어사 사용할 수 있다. 쓰기 w 파일을 수정, 이동 , 삭제 할 수 있다. (디렉터리에 쓰기 권한이 있어야 한다.) 파일을 생성하거나 삭제 할 수있어야 한다. 실행 x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셀 스크립트나 실행 파일의 ㅣ경우) cd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파일을 디렉터리로 이동하거나 복사 할 수 있다. 권한의 표기 방법 읽기 r 쓰기 w 실행 x 권한없는 경우 - 권한 표기 rwx rwx rwx 소유자 그룹 기타사용자 예시 1) r-x r..
[리눅스] 그룹 passwd /shadow/groups 그룹 사용자 관리 /etc/passwd 파일 모든 사용자는 그룹에 속한다. 사용자계정정보가저장된기본파일 한행에사용자한명에대한정보가기록되며, 쌍점(:)으로구분되는일곱개의항목으로구성 로그인ID: 사용자계정의이름, 32자를넘을수없으나8자로제한하는것이좋다 x : 초기유닉스시스템에서사용자암호를저장하던항목, 요즘은/etc/shadow 파일에별도로보관 UID: 사용자ID 번호로시스템이사용자를구별하기위해사용하는번호 - 0~999번과65534번은시스템사용자를위한UID로예약(0: root, 1: bin, 2: daemon, 3: adm등) - 일반사용자들은UID 1000번부터할당 - 로그인ID가다르더라도UID가같으면리눅스시스템은같은사용자로판단, 따라서UID가중복되지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