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 자료실 downLoad.jsp
webtest/pdsTest/downLoad.jsp jsp 내장객체 java.io.File 을 사용하기 위해 import를 걸어준다. java.io.File -> 파일 복사 , 삭제 등 의 일을 함 . String diretory = application.getRealPath("/pdsTest/data"); // 파일이 저장되는 경로 out.write(""+cnt+ " :
webtest/pdsTest/downLoad.jsp jsp 내장객체 java.io.File 을 사용하기 위해 import를 걸어준다. java.io.File -> 파일 복사 , 삭제 등 의 일을 함 . String diretory = application.getRealPath("/pdsTest/data"); // 파일이 저장되는 경로 out.write(""+cnt+ " :
PDS [Posting Data System] 이클립스에서 보여지는 폴더는 실제 자료가 저장되는 경로가 아니고 이곳이 실제 자료가 저장되는 경로 이클립스 설치경로에서 [사용자마다 다름]\works\.metadata\.plugins\org.eclipse.wst.server.core\tmp0\wtpwebapps\webtest
webtest/pdsTest/upLoadTestOk.jsp [ 소스 ] [ 결과창 ] 파일업로드에 필요한 import 파일 업로드 하는 클래스 파일 중복된 파일을 숫자 1,2,3,4로 구분해 주는 파일 맨처음 파일 업로드시 역할을 하는것 같은 파일을 한번만 업로드 하는것이 아니기때문에 ex)test.txt 를 한번더 업로드 한다고 가정했을경우 test.txt라는 파일은 이미 서버에 있는데 그럴때 뒤에 숫자를 붙인다던가 해서 서버에 저장해서 처리해줌 test_1 그 역할을 하는것이 [확인 ] upLoadTest.jsp 로 실행 이름이 같은 파일이 없을때 test.txt 파일 업로드 \works\.metadata\.plugins\org.eclipse.wst.server.core\tmp0\wtpwebapps\..
webtest/pdsTest/upLoadTest.jsp [소스] [ 결과 ] 자료실 기초 설계 -> 내가 원하는 확장자 , 원하는 크기로 만 업로드 가능하게 설정 upLoadTest.jsp 10번 라인 뒤에서 부터 3자리 추출 test.txt -> txt 추출 [ 즉 3자리 확장자만 사용하겠다는 의미 ] 마지막점을 기준으로 추출 해서 변수에 담는 방법도 있다. [모든 확장자 사용시 ] 11번 라인 ext.toUpperCase() 확장자를 대문자로 치환해서 변수 uExt 에 담는다. 대문자로 비교하기 위해 13번 라인 //업로드할 파일의 사이즈 구함 ("file"). files 는 메소드 42번 라인에 아이디 이름을 써주면 된다. 최대 10 MB 까지 허용하겠다. [1024*1024 = 1MB] ZIP 파..
Servlet 선처리, 후처리 Servlet의 라이프 사이클중 init()과 destroy()메소드와 관련하여 선처리(init()전) 과 후처리(destroy()후) 작업이 가능 하다. @ 어노테이션 사용 @PostConstruct 사용자가 가장 처음 실행하고자 하는 메소드가 있을 경우 PostConstruct 어노테이션을 선언 후 메소드를 만든다. @PreDestroy 사용자가 가장 마지막에 실행하고자 하는 메소드가 있을 경우 PreDestroy 어노테이션을 선언 후 메소드를 만든다. 출력순서 PostConstruct 어노테이션의 내용 init 메소드 doGet 메소드 종료 destroy 메소드 PreDestroy 어노테이션의 내용
서블릿 - 라이프사이클(생명주기) Test init Method [ 메소드 중에서 가장 먼저 최초에 한번만 실행 ] destroy Method [ 메소드 중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한번만 실행 ] doGet Method [ get방식 호출 일 때 매번 처리 ] doPost Method [ Post방식 호출 일 때 매번 처리 ] [ 실행결과 ] 처음에 init Method가 실행되었고 새로 고침할 때 마다 doGet Method가 다시 요청 doPost 가 호출되지 않은 이유는 form을 만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서버 종료시 destroy Method 실행 된 것을 볼 수 있다.
1. 한글처리 web 한글 처리 탭 처리 [ 스패이스바 얼마나 이동할지 기본값 [4->2]] 기본 브라우저 설정 기본 설정은 시스템 브라우저로 설정이 되어있고 use external web browser 를 클릭해서 사용 하는 브라우저를 선택해준다. [ Chrome 브라우저를 선택 하였음 ] 블록화 처리 New 로 새로 생성 space only 로 변경해주고 size를 원하는 크기로 변경 stutements within 'switch' body -> switch 사용할때 자동 정렬
1. web 프로젝트 생성시 함께 생성 Generate web.xml deployment descriptor 체크 2. 나중에 추가로 생성 프로젝트 우측 클릭 - Java EE Tools - Generate Deployment Descriptor Stub
WebProject 만들기 이름 [ webtest ] WebContent ? -> ex) www.imbc.com/sdfsdf [ sdfsdf] 이부분 Generate web.xml deployment descriptor 체크 시 -> web.xml 파일 자동 생성 webtest 프로젝트 생성된 모습
JRE : 가상머신의 위치를 나타낸다 . 서버에 올릴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곳 아직 만든것이 없으므로 나타나지 않았다. 톰켓 서버를 더블클릭 - port 란에서 포트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